본문 바로가기

The Answer!!808

wifi signal strength 출처는 https://luxul.com/ap-placement 2016. 6. 21.
WEBSERVER 만들기(웹서버로 AP 설정하기-2) BY ARDUINO LIBRARY 저번에는 웹서버로 접속하여 설정할 공유기의 SSID와 PW를 직접 적어주는 포스트였습니다. WEBSERVER 만들기(웹서버로 AP 설정하기-1) BY ARDUINO LIBRARY 예제소스 다운로드 이번에는 접속가능한 AP리스트를 검색해서 선택하는 포스트입니다. AT명령어를 사용하는 예제는 많은데, Arduino코드를 사용하는 예제는 많이 없는 것 같아서 좀 헤맸습니다. html header와 footer입니다. 12String header = "JME PLUG Setting ";String footer = ""; Colored by Color Scriptercs 그리고 본 소스코드입니다. 123456789101112131415String ssid;int netcount = WiFi.scanNetworks.. 2016. 6. 20.
WebServer 만들기(웹서버로 AP 설정하기-1) by Arduino library IOT제품을 만들려면, 처음 제품을 받았을때 집안의 AP와 연결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ESP8266을 AP모드의 SERVER로 설정하여 집안의 AP정보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android app을 이용하여 ESP8266에 AP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이전에 해보았는데 이번에는 WEBSERVER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android app을 이용한 포스트 가기!! 예제소스 다운로드 먼저 헤더파일부터 추가시키고 클래스를 선언해줍니다. 123#include ESP8266WebServer Web(80);cs Line 3 : 보통은 웹서버의 포트를 80으로 쓰기때문에 80으로 설정했습니다.(변경 가능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포트를 넣지않으면 자동 80번입이다. ESP8266WebServer.h에 80번 .. 2016. 6. 17.
자동차 에어필터(공기필터) 가습기 살균제(OIT) 검출 요즘 옥시사태이후 가습기살균제성분에 대해 여기저기서 이슈가 되고 있네요. 몇일전 자동차 공기필터 M사, H사, D사 제품에서 OIT성분이 검출되었다고 뉴스에 나왔었는데요. 정확히 어떤회사인지 공개되지 않아 불안하셨을텐데, 뉴스에 보면 가려졌지만 어느정도 윤곽이 보이네요. 위 그림을 누르시면 기사로 이동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필터 2가지가 나오는데요. 먼저 왼쪽의 필터는 M사 제품입니다. 제품 박스포장이 거의 같은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위 그림은 뉴스의 오른쪽에 있는 제품하고 같은 H사 제품입니다. 이 그림은 M사와 H사가 기술제휴를 했다는 내용인데, 2제품이 같은 성분이 들어갔다는 결정적인 이유!! 그리고 D사는 두*과 대* 두가지 제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두*으로 확정지어지는 분위기 입니다. 위 .. 2016. 6. 15.
자주쓰이는 체터링방지 버튼(Button) 코딩법 일반적인 Tact Switch의 경우 버튼을 누를면 High-Low가 바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값이 흔들리게 됩니다. 위 그림처럼 버튼을 눌렀을때 바로 Low로 떨어지지 않는데, 이런 현상을 체터링이라고 합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해주는 방법으로 2가지 정도가 있는데, 하나는 버튼을 누를때마다 delay를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delay방식을 사용할 경우 환경에 따라 delay시간을 변경해야 하며, 계속 누르고 있는경우 같은 값이 연속적으로 입력되게 됩니다. 위 방법보다 더 적극적인 체터링 방지방법으로는 버튼을 눌렀다가 떼었을때 입력되게 하는 것입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if(!relay_button){ if(!digitalRead(RELAY_SW)){ relay_button=.. 2016. 6. 13.
자동차 검사(정기검사 종합검사) 이번에 검사를하면서 저는 정기검사를 받았는데, 친구는 종합검사를 받더군요. 왜 차이가 날까 의문이 들어서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우선 정기검사든 종합검사든 비영업용(자가용)의 경우 신차기준 4년후 부터 2년마다 검사를 받습니다. 영업용은 신차기준 2년마다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대상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래의 종합검사 대상이 아니면 정기검사입니다. 종합검사 대상 그리고 중요한 검사 수수료 종합검사를 보면 부하검사와 무부하 검사가 있는데 부하검사와 무부하검사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6. 6. 10.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