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 Answer!!808

ESP 부트모드 ESP32를 UART로 플래시를 하기위해서 Booting Mode를 Download Boot로 변경해야 합니다. GPIO0과 GPIO2를 Low로 변경한 후 부팅을 하면 다운로드 모드가 되고, GPIO0을 High로 변경한 후 부팅을 하면 실행모드(Flash)가 됩니다.(GPIO2는 상관없습니다.) 따라서 위 회로도와 같이 IO0은 딥스위치나 버튼으로 다운로드시만 LOW가 되도록 만들어 주고, IO2는 LOW나 다운로드시 LOW가 되도록 하시면 됩니다. ESP8266의 경우에는 GPIO핀 3가지 조건이 만족해야 합니다. Download모드(UART)를 위해서는 GPIO0과 GPIO15는 Low, GPIO2는 High가 되어야 하고, 실행모드(Flash)를 위해서는 GPIO0과 GPIO2는 High, GP.. 2018. 3. 16.
RADIONODE의 UA20 사용방법 4-20mA 출력이 나오는 센서들을 연결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바이스 입니다. UA20을 PC에 연결하여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win10기준 자동 설치됩니다.) radionode365.com 에 접속하여 고객센터-소프트웨어 로 들어가셔서, 위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합니다. 이제 센서를 연결합니다. 제가 사용한 센서는 디웰전자의 전류센서입니다. 0~150A 측정가능합니다. 연결 방법입니다. UA20의 스크류가 위로 올라오게 했을때, 왼쪽이 채널1이고, 순서대로 +,- 입니다. 전류센서의 흰선에 24V를 인가하고, 검은선이 출력을 채널1의 +에 연결합니다. 24V의 GND선을 채널1의 -에 연결합니다. CT는 테스트를 위해 전류원에 연결합니다. 이제 온도캘리브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해 줍니다. 실행하면.. 2018. 3. 16.
4-20mA 센서 MCU에 연결하기 산업용에서 사용하는 센서들은 출력으로 4-20mA 전류출력을 많이 사용합니다. 전압출력을 사용하는 센서들도 있지만, 전류출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센서의 아날로그 출력값을 전압으로 받게된다면,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압강하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0~5V 출력이라고 했을때 0~4.xx V 이런식으로 떨어져서 값의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하지만 전류값을 출력으로 받게 된다면,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0~20mA가 아니라 4~20mA를 사용하는 이유는 센서값의 출력 유무, 와이어의 단절등을 파악할 수있습니다. 최저값이 0mA가 아닌 4mA를 사용함으로써, 센서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센서들을 MCU에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통의 .. 2018. 3. 14.
이산화탄소 배출량 계산 http://bpms.kemco.or.kr/toe/toe/toe_new.aspx 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공식은 탄소배출량(tC)=연료발영량(MJ) X 탄소배출계수(tC/TJ) / 106 입니다. 전기(소비전력)같은 경우 10kWh당 0.0045 tCO2입니다. 휘발유는 1ℓ당 0.002 tCO2 입니다. 경유는 1ℓ당 0.0025 tCO2 입니다. LPG(도시가스) 1N㎥ 당 0.0035 tCO2 입니다. 다른 연료도 계산가능합니다.^^ 2018. 3. 14.
포토센서 종류와 연결방법 포토센서는 주로 물체를 감지하는데 사용됩니다. 종류로는 투과형, 미러 반사형, 확산 반사형등이 있습니다. 투과형은 투광기와 수광기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광기에서는 적외선을 발사하고, 수광기는 이 적외선을 받게 됩니다. 적외선이 들어오게 되면 감지가 안된 것이고, 안들어오면 감지가 되었다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미러 반사형은 적외선을 쏘는 부분과 받는 부분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외선을 발사하여 미러를 통해 반사하여 감지합니다. 만약 물체가 감지되면 적외선을 받지못해 인식을 하게 됩니다. 확산 반사형은 미러 반사형처럼 쏘는 부분과 받는 부분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지만, 미러가 없어 물체가 없을경우에는 적외선을 받지 못하다가 물체가 감지되면 적외선을 받게되는 구조입니다. 이 3가지중 가장 거리가 길.. 2018. 3. 14.
ESP32 arduino에서 사용하기 ESP32는 espressif에서 WIFI와 BLE를 동시에 지원하게 만든 칩입니다. 모듈로는 ESP-WROOM-32와 WROVER가 있습니다. ESP8266의 경우 arduino에서 작업할때 간단히 보드를 추가해 줄 수 있었습니다. ESP8266 arduino에서 사용하기 바로가기 하지만 ESP32의 경우 조금은 다른방법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전 github의 espressif/arduino-esp32를 참고했습니다. 1. Git GUI를 설치합니다. Git GUI 다운로드 위 링크를 눌러 Git GUI를 다운로드합니다. 설치시 default로 Next만 눌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Git GUI를 실행합니다. Clone Existing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Source Locatio.. 2018. 2. 28.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