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501 다른 IP대역끼리 통신하기 일반적으로 공유기를 설치해서 내부 사설망을 쓰고있는데, DEVICE가 늘어나다보면 IP수가 부족해 집니다. 이때 공유기 밑에 공유기 하나를 더 설치하여 사설망을 하나 더 만들 수 있습니다. 구성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PC1과 PC2의 IP대역이 다르지만 통신을 하려고 합니다. 연결은 위와 같이 하시고, 메인 공유기의 설정은 그대로 두고, 하위 공유기의 설정만 조금 바꿔주면 됩니다. 참고로 IPTIME 공유기 기준입니다. 인터넷 정보가 외부망(WAN) 연결정보이고, 내부 네트워크 정보는 내부망(LAN) 연결정보 입니다. 외부 IP는 동적연결(DHCP)로 해놔서 192.168.0.216을 배정받았습니다. 내부 IP는 192.168.1.x 대역이고, 1번을 배정했습니다. 외부망 연결정보입니다. 내부망 연결정보.. 2017. 2. 17. ESP8266 EEPROM 사용하기 1. EEPROM.begin(size) EEPROM을 사용하기 위해 EEPROM을 설정하는 메소드입니다. ESP8266의 EEPROM maximum size는 4096byte인듯합니다. ESP8266 EEPROM size 참고 따라서 최대 4096byte까지 자신이 사용할만큼의 size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1EEPROM.begin(4096);cs 위와 같이 설정하면 4096byte의 EEPROM을 사용하게 됩니다. 번지수는 0~4095번지까지입니다. 2. EEPROM.write(address,data) EEPROM에 데이터를 쓰는 메소드입니다. 파라메터는 EEPROM 주소와, 데이터부분입니다. 주소는 begin에서 설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4096byte를 설정했다면, 0~4095까지의 주.. 2017. 2. 14. Windows 10 IoT 예제] Push button 코딩에 앞서 몇가지 예제를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Push button입니다. Push button예제에 가시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Push button과 LED를 연결하고 버튼을 누를때마다 LED가 On/Off되는 예제입니다. 예제소스코드 위 링크를 클릭하여 예제소스코드를 받으시면 시간이 절약됩니다.^^ 소스코드를 열어보시면 왼쪽에 솔루션 탐색기가 나옵니다. MainPage.xaml이 UI이고, MainPage.xaml.cs가 code가 있는 곳입니다. UI파일을 열어보시면 사이즈를 정할 수 있습니다. 사이즈를 좀 키워 봤습니다. 이제 코드를 볼께요. 먼저 전역변수입니다. 1234567private const int LED_PIN = 6;private const i.. 2017. 1. 24. RaspberryPi 에서 Windows10 iot C#으로 코딩하기 준비 RaspberryPi Windows IOT에 프로그래밍을 하기위해 Visual Studio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다른언어로도 가능하지만 UI측면에서 좀 더 접근하기 쉬운 C#을 이용합니다. 필요한 플로그램목록입니다. Windows10 IOT 는 최신버전이니 됐고, Visual Studio 2015 update2 이상이 필요한데, 저같은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Visual Studio때문에 꼬여서 다지우고 재설치 했습니다. 위 링크를 눌러 다운로드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커뮤니티 버전은 개발용으로 무료로 사용할 수있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제일 위에서 보았던 리스트 중에 Windows 10 SDK가 필요하므로 추가해 줍니다. 다만 용량이 많습니다.ㅠㅠ 오래걸려요~ 설치가 완료되.. 2017. 1. 24. RaspberryPi] Windows10 IoT 원격접속하기 라즈베리파이에 Windows10 IoT설치하기 를 먼저 수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IoT Dashboard에서 Device(라즈베리파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밑에있는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브라우저에서 Windows Device Portal 열기를 클릭합니다. Device Portal로 접속할려면 ID와 PW를 넣어야하는데 설치할때 설정한 비밀번호와 ID는 초기 Administrator를 사용하여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빨간 네모박스안의 Display Setting이 기본값인 640x480은 보기가 힘드므로 1024x768을 설정합니다. 버그인지 모르겠으나 800x600은 이더넷이 먹통이 되고, 해상도가 너무 높으면 원격에서 너무 느립니다. 가장 밑에있는 Rem.. 2017. 1. 19.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에 Windows10 IoT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말고도 윈도우10도 올릴수가 있습니다. 윈도우 개발자센터 가기 위 링크를 눌러 개발자 센터로 갑니다. 지금바로 시작을 클릭하세요~ 디바이스 선택화면이 나타납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3에 올려보겠습니다. OS는 윈도우즈 10 iot core!! 넥스트~ OS 설치를 위한 대쉬보드를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받은 대쉬보드를 설치합니다. 설치중~ 설치가 완료되고 실행되면 단말기 지정화면이 나타납니다. 간단한 설정을 한 후 다운로드및 설치~ 먼저 윈도우즈 10 IoT Core를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커맨드창이 잠깐나타납니다.(이미지 복사중) 이제 SD를 PC에서 꺼내어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전원을 켜줍니다. 그리고 내장치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라즈베리파이를 찾아줍니다. 설치가 완료.. 2017. 1. 18.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84 다음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