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2 전력값 읽을때 주의사항(마이너스 값 플러스로~) 78M6610이나 78630으로 전력값을 가져오면 CT의 방향에 따라 마이너스( - )값이 나타납니다. 레지스터 테이블을 보면 전압과 전류는 부호가 없지만, 전력은 부호가 있습니다. 즉 CT를 반대로 연결하면 마이너스 값이 발생합니다. 단상인 78M6610의 경우 마이너스 값이 나오면 플러스로 바꿔주면 됩니다. 1234567if (((data >> 23) & 0x01) == 1) { //minus data -= 1; data = (0xffffff - data); data = (data *0.05); }else{ //plus data = (data *0.05); }Colored by Color Scriptercs 전압과 전류는 플러스값으로만 표현되니 상관이 없고, 전력의 경우 signed 24bit 인데 .. 2019. 3. 7. 이산화탄소 배출량 계산 http://bpms.kemco.or.kr/toe/toe/toe_new.aspx 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공식은 탄소배출량(tC)=연료발영량(MJ) X 탄소배출계수(tC/TJ) / 106 입니다. 전기(소비전력)같은 경우 10kWh당 0.0045 tCO2입니다. 휘발유는 1ℓ당 0.002 tCO2 입니다. 경유는 1ℓ당 0.0025 tCO2 입니다. LPG(도시가스) 1N㎥ 당 0.0035 tCO2 입니다. 다른 연료도 계산가능합니다.^^ 2018. 3. 14. 이전 1 다음 인기글